[Keep] 브랜드(Brand) 기원 어원 유래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Post] 브랜드(Brand) 기원 어원 유래(Keep)
keycolor Ver.20240521
[Notification] |
간접적인 영리추구를 위한 특정한 상품, 서비스, 광고 및 기타 유료 프로모션 자료의 홍보성 글이 아닙니다. |
독자에게 특정 주제에 대한 인사이트, 팁, 조언 또는 분석을 제공하며, 가치 있거나 교육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블로그 콘텐츠의 한 유형입니다. |
[Dict] 브랜드(brand) |
상표(명사) |
[Dict] 상표 |
(명사) 사업자가 자기 상품에 대하여, 경쟁업체의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호ㆍ문자ㆍ도형 따위의 일정한 표지. |
상표 |
|||
상품 출처 생산자 |
구분 구별 |
표지 (표시ㆍ특징) |
문자 (숫자ㆍ글자ㆍ기호) 이미지 (도형ㆍ도안ㆍ 로고ㆍ마크) |
[Wiki] 브랜드(brand) |
브랜드는 어떤 경제적인 생산자를 구별하는 지각된 이미지와 경험의 집합이며 보다 좁게는 어떤 상품이나 회사를 나타내는 상표, 표지이다. 숫자, 글자, 글자체, 간략화된 이미지인 로고, 색상, 구호를 포함한다. |
경쟁 업체의 것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 문자, 도형 등을 의미 |
[Dict] 브랜딩(branding) |
상품 명(제품 이미지) 부여 작업 |
브랜드 |
브랜딩 |
브랜드 마케팅 |
사람들의 머릿속에 남는 총체적인 이미지 |
브랜드 미션을 통한 정체성 구축 과정 |
우리 브랜드를 시장에 널리 알리는 것 |
[info] 브랜드(Brand) 발전 연표
브랜드 발전 연표 |
||
B.C 2000~ |
◁ |
ㆍ |
고대 이집트 (EGYPTE) 소유권을 위해 가축에 기호를 남겼다. 벽돌. 그릇 등 생산품에 문제가 발생하면 책임을 묻기 위해 또한 이름을 남겼다. |
ㆍ |
ㆍ |
▷ |
B.C 700~B.C 300 |
|
ㆍ |
그리스(GREECE) B.C 700 동상의 민족 그리스인들은 상업적 목적으로 항아리에 표식을 새겨 판매하였다. 바빌론 (BABYLONIA) B.C 600 바빌론 상인들은 상점임을 나타내는 간판을 걸고 차이점을 부각하여 광고를 하였다. 리디아왕국 (BABYLONIA) B.C 560 상설 소매점을 인류최초로 만든 리디아 왕국의 마지막 왕 크로이소스는 자신의 인장을 박은 금화, 은화를 화폐로 사용하게 하여 치정을 홍보했다. 고대 로마 (ANCIENT ROME) B.C 3000 자신의 생산물을 차별화 하는 기호나 |
|
A.C 1200~A.C 1500 |
◁ |
|
유럽 (EUROPE) AC 1200 수도원에서 만들어내는 술(주로 와인)과 다른 술을 구분지어 판매할 목적으로 수도원의 이름과 생산년도를 표기하였다. 유럽 (EUROPE) A.C 1400 Brandr가 아닌 Brand 영어에 등장하다 |
ㆍ |
|
▷ |
A.C 1500~A.C 1800 |
|
ㆍ |
유럽 (EUROPE) A.C 1600 상업의 폭발적인 번영으로 문맹인들도 알아볼 수 있는 심볼의 간만 적극 사용 영국 (ENGLAND) A.C 1760 조지아 웨지우드(Josiah Wedgewood).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공방을 기업화하여 도자기 판매 |
|
A.C 1800-1900 |
◁ |
|
미국 (U.S.A) A.C 1870 사무엘 메버릭 (Samuel A. Maverick), 텍사스의 농장주는 낙인 관습을 거부. 독립적인, 개성이 강한 사람 등의 뜻을 가진 영어 단어 maverick의 유래가 이 인물. 프랑스(FRANCE) A.C 1871 대중 정치운동 파리 코뮌(La Commune de Paris) 이후 상업 브랜드 부흥기를 맞다. 한국 (KOREA) A.C 1882 조선말기 실학자 지석영, 8월 23일 고종에게 현대적 개념의 특허권과 저작권을 인정하는 제도적 장치(특허제도)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상소를 올렸다. 미국 (U.S.A) A.C 1886 Coca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약사인 존 펨버턴. 코카-콜라를 상표등록하고 판매하다. |
ㆍ |
|
▷ |
A.C 1900~ |
|
ㆍ |
한국(KOREA) A.C1908 일본, 1908년 5월 미국과 발명, 의장 (디자인), 상표, 저작권 보호에 관한 조약 체결, 같은 해 8월 통감부 특허국 설치 유럽 (EUROPE) A.C 1910 당대를 넘어 최근까지도 많은 광고인에게 영감을 주는 클라우드 홉킨스(Claude C. Hopkins), '사람들은 광대에게서 물건을 사지 않는다.'며 브랜드의 중요성 강조 한국(KOREA) A.C 1916 일제 강점기 조선의 메가 상품이며 한국 최초의 공산품 화장품 브랜드 박가분 상표등록, |
|
A.C 1922 |
◁ |
|
영어 단어 'brand name'이 처음으로 등장 하였다. |
ㆍ |
|
A.C 1949 |
◁ |
|
한국 (KOREA, REPHUBLIC OF) 상공부의 외국으로 특허국(이후 오늘날의 특허청으로 승격)을 설치 상공부 특허국(서울 종로구 종로 1가, 1953) |
ㆍ |
[info] 브랜드(Brand) 기원 어원 유래
[기원] 브랜드(Brand) |
가축에 인두로 식별한 행위를 '브랜드'라고 했다 |
4270 |
B.C 2250 + A.D 2020 = 4270 |
브랜드의 기원을 BC2250년경으로 제시 (2008년. 캐나다. 맥길대학교. 칼 무어교수. 수잔 레이드교수. <브랜드의 기원'>논문) |
▷ B.C 2000~ |
고대 이집트 (EGYPTE) 소유권을 위해 가축에 기호를 남겼다. 벽돌. 그릇 등 생산품에 문제가 발생하면 책임을 묻기 위해 또한 이름을 남겼다. |
[History] 상형 문자 숫자 |
이집트 숫자 기원전 3000년 무렵부터 쓰인 상형 문자로 표기된 숫자이다. 인간이 가축이나 곡식을 소유하고 교환하면서부터, '수'에 대한 개념이 생겨났습니다.
|
이집트 상형 문자 기원전 3000년대 초반에 발생 고대 이집트의 이집트 문명에서 사용된 문자를 말한다. 신성문자(혹은 성각문자)또는 '히에로글리프'라고도 한다. |
신성 문자(Hieroglyph) 기원전 3500년부터 고대 이집트의 돌이나 나무에 새긴 (상형) 문자를 지칭하는 낱말 각 글자들은 각종 동물이나 사물, 신체의 모습을 본뜬 모습 |
[History] 브랜드(Brand) 유래 |
옛날 사람들이 그들의 가축, 상품, 작품에 대한 소유를 나타내고, 타인의 것들과 차별하기 위하여 어떤 표시를 하기 시작한 것이 곧 브랜드의 유래인 것이다. |
가축 소유권 표시 도구 (Brand)
|
▷ B.C 700 ~ B.C 300 |
그리스(GREECE) B.C 700 동상의 민족 그리스인들은 상업적 목적으로 항아리에 표식을 새겨 판매하였다. 바빌론 (BABYLONIA) B.C 600 바빌론 상인들은 상점임을 나타내는 간판을 걸고 차이점을 부각하여 광고를 하였다. 리디아왕국 (BABYLONIA) B.C 560 상설 소매점을 인류최초로 만든 리디아 왕국의 마지막 왕 크로이소스는 자신의 인장을 박은 금화, 은화를 화폐로 사용하게 하여 치정을 홍보했다. 고대 로마 (ANCIENT ROME) B.C 3000 자신의 생산물을 차별화 하는 기호나 |
[History] 브랜드(Brand) 유래 |
그리스(GREECE) B.C 700 그리스 상인이 거래하는 항아리에 자신의 이름을 넣은 데서 시작되었다 |
[어원] 브랜드(Brand) |
중세시대 ‘brandr' 노르웨이 고어 “불에 달구어 지진다” “화인(火印)하다”라는 뜻으로 사용에서 유래 |
A.C 1200 ~ A.C 1500 |
유럽 (EUROPE) AC 1200 수도원에서 만들어내는 술(주로 와인)과 다른 술을 구분지어 판매할 목적으로 수도원의 이름과 생산년도를 표기하였다. 유럽 (EUROPE) A.C 1400 Brandr가 아닌 Brand 영어에 등장하다 |
[History] 브랜드(Brand) 유래 |
유럽 낙인 관습
|
A.C 1500~A.C 1800 |
유럽 (EUROPE) A.C 1600 상업의 폭발적인 번영으로 문맹인들도 알아볼 수 있는 심볼의 간판 적극 사용 영국 (ENGLAND) A.C 1760 조지아 웨지우드(Josiah Wedgewood).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공방을 기업화하여 도자기 판매 |
[History] 브랜드(Brand) 유래 |
유럽 (EUROPE) A.C 1600 문맹률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상점 주인들이 상점 이름 대신 팔고 있던 물건을 나타낼 수 있는 그림이나 표시를 상점 앞에 걸어 놓았는데 이것이 바로 브랜드의 유래 영국 (ENGLAND) A.C 1760 기술자들이나 공예품 작가들이 자기 작품에 특별한 표시를 하기 시작 특별한 표시를 통해서 자기 작품을 타인의 작품과 차별시켰고, 이는 자기 작품을 보증해주는 도구로 점점 일반화되기 시작 |
A.C 1800-1900 |
미국 (U.S.A) A.C 1870 사무엘 메버릭 (Samuel A. Maverick), 텍사스의 농장주는 낙인 관습을 거부. 독립적인, 개성이 강한 사람 등의 뜻을 가진 영어 단어 maverick의 유래가 이 인물. 프랑스(FRANCE) A.C 1871 대중 정치운동 파리 코뮌(La Commune de Paris) 이후 상업 브랜드 부흥기를 맞다. 한국 (KOREA) A.C 1882 조선말기 실학자 지석영, 8월 23일 고종에게 현대적 개념의 특허권과 저작권을 인정하는 제도적 장치(특허제도)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상소를 올렸다. 미국 (U.S.A) A.C 1886 Coca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약사인 존 펨버턴. 코카-콜라를 상표등록하고 판매하다. |
A.C 1900~ |
한국(KOREA) A.C1908 일본, 1908년 5월 미국과 발명, 의장 (디자인), 상표, 저작권 보호에 관한 조약 체결, 같은 해 8월 통감부 특허국 설치 유럽 (EUROPE) A.C 1910 당대를 넘어 최근까지도 많은 광고인에게 영감을 주는 클라우드 홉킨스(Claude C. Hopkins), '사람들은 광대에게서 물건을 사지 않는다.'며 브랜드의 중요성 강조 한국(KOREA) A.C 1916 일제 강점기 조선의 메가 상품이며 한국 최초의 공산품 화장품 브랜드 박가분 상표등록, |
A.C 1922 |
영어 단어 'brand name'이 처음으로 등장 하였다. |
A.C 1949 |
한국 (KOREA, REPHUBLIC OF) 상공부의 외국으로 특허국(이후 오늘날의 특허청으로 승격)을 설치 상공부 특허국(서울 종로구 종로 1가, 1953) |
[History] 브랜드(Brand) 유래 |
옛날 사람들이 그들의 가축, 상품, 작품에 대한 소유를 나타내고, 타인의 것들과 차별하기 위하여 어떤 표시를 하기 시작한 것이 곧 브랜드의 유래인 것이다. |
|
안중근 의사 여순감옥에서 “동포에게 고함”이라는 글을 남기면서 그 글 위에 자신의 손도장을 찍었는데 이때 그의 손바닥 표시가 곧 브랜드인 것이다. |
예수님이 십자가 ‘+’로 불교가 만‘卍’자로 표징되는 것과 나라마다 고유한 국기도 그 나라를 상징하는 것 |
죄인을 벌하는 도구로도, 나치 독일의 수용소에서는 유태인에게도 사용되었다. |
[History] 브랜딩(Branding) 유래 |
서부 개척시대의 미국 서부 활극영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 목장 주인들이 자기들이 기르는 가축을 표시하기 위하여 소나 말 등에 인두로 ‘K'자 등 어떤 시각적 표시를 나타냈는데 이를 브랜딩(Branding)이라 한다. |
1800년대의 미국은 산업화와 함께 상업화도 가속도가 붙었다. 공산품 내지는 생산품들은 거래(trade)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거나 경쟁제품과의 차별성과 오너쉽을 주장하기 위한 마크(심벌 또는 이름;브랜드)가 필수였다. (거래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표기한)이 표식들이 ‘trademark’, ‘particular mark of goods’라는 용어로 마케팅의 한 귀퉁이에 정립(Oxford Dictionary)되어 생산자와 소비자의 보호와 행정, 산업 육성 등을 위한 법적/제도적 시스템으로 정착된다. |
브랜드 가치(brand value) |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무형의 자산으로, 시중에 상표를 팔 때 받을 수 있는 추정가치로 브랜드의 지명도만으로 현재 또는 미래에 거둘 수 있는 이익을 금액으로 환산한 것이다. |
브랜딩 요소 |
다른 사람에게 인식되는 이미지를 만드는 것 |
|
기업 브랜드 |
주로 회사명 또는 기업명을 브랜드화한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잘 아시는 삼성전자, SK텔레콤, 현대자동차, GS리테일, KGC 인삼 공사 등 이 대부분 기업 브랜드입니다. 기업 브랜드가 회사명 또는 상호와 무엇이 다르냐고 질문을 한다면, 실제 다르지 않습니다. |